1. 치아바타 유래
프랑스에서 가장 보편적인 빵은 바게트입니다. 사람들이 많이 찾고 가장 많이 먹습니다. 만드는 것 또한 어렵지 않습니다. 재료도 간단합니다. 치아바타도 그렇습니다. 밀가루, 효모, 물, 소금을 사용해서 만듭니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흔하게 먹는 빵입니다. 치아바타는 이탈리아어로 슬리퍼라는 의미입니다. 모양이 슬리퍼처럼 생겼습니다. 길고 넓적하며 가운데 푹 들어간 것이 특징입니다. 치아바타의 역사는 짧습니다. 1982년 베네토 아드리아의 제빵사 아르날로 카발라리가 개발했습니다. 바로 바게트를 대체할 빵으로 만들었습니다. 샌드위치를 만들기 위해 치아바타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바게트로도 샌드위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맛있습니다. 하지만 바게트의 큰 특징 중 하나가 껍질이 두껍고 딱딱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아바타가 생겨난 것입니다. 치아바타는 바게트보다 부드럽고 껍질이 딱딱하지 않아서 샌드위치로 만들어서 먹기에 아주 적합합니다. 재료는 바게트와 유사하지만 식감의 차이가 있으며 반죽을 발효시키는 시간과 방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치아바타를 좋아합니다. 아마 전세게에 급속도로 빠르게 전파된 빵 중에 하나가 치아바타일 것입니다. 그만큼 맛있고 모든 재료에 조화가 좋습니다.
2. 치아바타 만들기
맛있는 치아바타는 어떻게 만들까? 치아바타는 바게트랑 재료가 거의 똑같습니다. 밀가루, 물, 소금, 이스트, 고생지가 들어갑니다.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여기에 올리브 오일이 들어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좀 더 내상이 촉촉하고 부드럽습니다. 치아바타는 버티컬로 만듭니다. 기본 온도는 50도 정도로 하고 반죽 온도는 24도가 나와야 합니다. 반죽의 점도는 부드러운 반죽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1단으로 9분 정도 돌리면서 반죽을 체크하며 마지막으로 2단으로 3분 정도 돌리며 오일과 바시나주를 넣어줍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올리브 오일을 먼저 넣어줘야 합니다. 오일을 넣고 돌리면서 점도를 보고 바시나주를 넣어줍니다. 반죽이 다 되면 1차 발효를 1시간 이상 해줍니다. 그리고 냉장에 넣어 놓고 다음 날 와서 작업을 해줍니다. 다음날 융천을 깔아주고 밀가루를 그 위에 충분히 뿌려줍니다. 그리고 1차 발효를 시킨 반죽을 그 위에 얹어줍니다. 반죽을 성형하기 좋게 펼쳐준 후 알맞게 분할을 해줍니다. 분할을 하고 2차 발효를 해준후 260도에서 구워줍니다. 그리고 그릴 위에 올려놓고 식혀주면 됩니다.
3. 치아바타의 다양한 활용
치아바타는 겉이 질기고 약간 단단합니다. 그리고 속은 부드럽습니다. 만약 겉을 더 부드럽게 하고 싶으면 굽는 시간과 온도를 조절하면 됩니다. 바게트처럼 고소한 맛이 특징이며 내상의 기포도 어느 정도 큽니다. 치아바타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식전 빵과 샌드위치가 있습니다. 식전 빵으로는 올리브 오일과 발사믹을 찍어서 먹습니다. 부드럽게 먹기에도 좋고 고소하기에 발사믹과도 잘 어울립니다. 그래서 레스토랑에서 많이 먹습니다. 또한 샌드위치입니다. 샌드위치는 정달 다양합니다. 어떠한 재료를 넣느냐에 따라서 종류가 달라집니다. 햄, 치즈, 야채, 채소, 다양한 소스를 넣어서 만듭니다. 먼저 모든 고기와도 잘 어울립니다.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연어 등을 넣어 먹어도 조화가 좋습니다. 그리고 치즈랑도 궁합이 아주 좋습니다. 체다치즈, 모차렐라 치즈, 고르곤졸라 치즈 등등 잘 어울립니다. 소스도 마찬가집니다. 이렇게 잘 어울릴 수 있는 이유는 치아바타가 고소하고 담백한 빵이기 때문입니다. 우유, 버터, 설탕, 계란 등이 들어가지 않고 만들기에 느끼거나 다른 재료의 맛을 헤치지 않습니다. 그래서 활용하기에 너무 좋은 빵입니다. 식감 또한 적당히 부드럽기에 씹는 맛이 좋습니다.
많은 나라에서, 많은 빵집에서 다양한 치아바타를 만들고 있습니다. 올리브, 치즈, 옥수수, 곡물 등을 넣어서 반죽을 하고 맛있는 치아바타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냥 먹어도 맛있고 다른 재료와 음식과 같이 먹어도 맛있는 빵인 치아바타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바게트의 단점을 보완해서 만들게 된 빵이 치아바타가 됐듯이 앞으로 어떠한 빵이 새로 생겨날지 기대가 됩니다.
댓글